알뜰폰 사용자가 2020년 11월 기준 899만9447명을 돌파했습니다. 홍보도 많이 되고 있는 알뜰폰 시장인데 아직 모르고 계신가요? 제가 알뜰폰을 쓰기 시작한 지 벌써 7개월째입니다. 장단점을 정리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21.04.20 - [재테크 - 앱테크] - 앱테크 6탄 - 상테크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지칸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알뜰폰을 주제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다들 알뜰폰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모두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계 2020년 11월 기준 899만 9447명을 돌파했습니다. 홍보도 많이 되고 있는 알뜰폰 시장인데 아직 모르고 계신가요? 알뜰폰을 쓰기 시작한 지 7개월째입니다.
1) 알뜰폰 소개
2) SK망을 사용하는 SK세븐모바일
3) 요금제 및 가입 이벤트
4) 통신비 할인 카드
저의 결론) 알뜰폰 무조건 쓰자, 그리고 상테크가 가능한 제휴카드가 있는 알뜰폰이면 더 좋다.
https://www.sk7mobile.com/mgm/e6d1bb9b5fb219393ccca2a2e1d7190d
추천인 ID) swqasw
(여러분의 추천은 큰 원동력이 됩니다.)
1) 알뜰폰 소개
알뜰폰은 기존 이동통신사에게 망을 빌려서 고객들에게 본인들의 브랜드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4이통과는 다릅니다. 4 이통은 기존 3사 이동통신사와 동등하게 4번째 이동통신사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알뜰폰은 기존 통신망을 빌려서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통화 품질은 각 통신사와 동일합니다. 저 또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유독 느리다는 것을 체감할 수 없었습니다. 그냥 똑같아요..
알뜰폰이 저렴한 요금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이유는 사업자는 3 사통 신사로부터 5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고객들에게 20~30% 할인된 가격으로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기존 망을 빌려 쓰는 거라 새로운 망 설치 비용도 없고 광고도 적고 대부분 온라인 가입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알뜰폰이 3 사통 신사보다 저렴할 수밖에 없습니다.
2) SK망을 사용하는 SK세븐모바일
각 통신사마다 수많은 알뜰폰 사업자가 존재하는데 저는 기존에 SK 통신사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SK세븐모바일을 선택해야 했습니다. 핸드폰의 NFC 기능 때문인데요. 기존 통신사와 알뜰폰 통신사가 다를 경우 NFC 기능에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모바일 사원증이 안된다고 하네요 ㅠㅠ, 자급제는 상관없고 최초 개통을 통신사와 했을 경우를 말함)
3) 요금제 및 가입 이벤트
여러분들 상황에 맞춰서 알뜰폰을 비교해보세요. 3사 이동통신사의 자회사로 운영되는 대표 알뜰폰 사업자의 요금제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음성/데이터 무제한 기준 (11G + 2G, 3 Mbps제한)
구분 | SK 세븐모바일(SK망) | KT M모바일(KT망) | U+알뜰모바일(LGU+망) |
기본 요금 | 49,060원 | 49,280원 | 49,390원 |
할인 요금 | 33,000원 | 32,980원 | 32,950원 |
가격은 비슷비슷합니다. 본인의 기존 개통 통신사가 아니어도 본인 서비스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보시고 가입 이벤트를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할인 요금은 이벤트성으로 나오는 것들이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번 가입하면 요금은 유지됨)
SK 세븐 모바일)
- 커블 체어, 애플 충전기, 캠핑 박스, 비타민, 가스버너 중 1개
- 유심비 무료
- 셀프 개통 시 신세계 상품권 2만 원
KT M 모바일)
- 유심비 무료
- 스타벅스 텀블러
- 왓 차 3개월
- 셀프 개통 시 밀리의 서재 3개월
U+알뜰 모바일)
- 유심비 반값
- 클럭 마사지기, 투썸 텀블러 중 1개
- GS25 셀프 개통 시 신세계 2만 원
- 유튜브 프리미엄 3개월
4) 통신비 할인 카드
저는 SK세븐모바일 33,000원 요금제를 쓰고 있습니다. 다만, 카드 할인으로 2만 원을 청구할인받고 있어 실제로 13,000원으로 통신비를 쓰고 있습니다.
[SK 세븐모바일라서 즐거운 카드]
전월 실적 30만원 이상 | 월 청구금액 10,000원 한도 |
전월 실적 70만원 이상 | 월 청구금액 15,000원 한도 |
전월 실적 100만원 이상 | 월 청구금액 20,000원 한도 |
전월 실적 100만 원을 어떻게 쓰냐 하실 수 있는데 이 카드의 전월 실적 제외 항목을 확인해보시면 답이 있습니다.
- 무이자 할부, 국세/지방세/관세, 해외 매출, 단기 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 카드대출(카드론), 수수료, 이자, 연회비는 전월 실적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 카드로 상품권을 구매해도 실적에 잡히기 때문에 실소비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실적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카드로 상테크를 진행하시면 실적은 가볍게 만족시킬 수 있으니 우리는 2만 원 할인을 받을 수 있어 13,000원으로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상테크 방법은 다른 포스팅에서 소개하겠습니다.
댓글